창고(42)
-
6일차 예비강의 메모
1. 포인터의 차원이란?참조할 수 있는 주소의 단계.0차원 - int a; 1차원 - int* a : 0차원 포인터의 주소를 가리킴.2차원 - int** a : 1차원 포인터의 주소를 가리킴. 2. 대입은 같은 차원에서만 가능하다.같은 차원만 가능함. & 연산을 통해 타입을 승격할 수 있음. 예제)int *a;int *b;int c = 10; a = c;b = &c; a = c는 1차원에 0차원을 대입하는 문장이 되므로 참조할 수 없다.b = &c는 &는 참조연산자를 이용해 int형 c를 int* 차원으로 승격하여 주소값을 대입해준다. 실제로 이런 문구의 워닝이 뜨며 a = c는 값을 제대로 참조할 수 없다.주소를 참조하든 안의 값을 참조하던 차원이 같아야 정상적인 연산이 되는 것이다. 아래 코드를 실행..
2015.02.23 -
5일차 예비수업 메모
고용센터 문제 해결로 부득이하게 결강을 하게되었다..슬프도다 교수님 수업 하나 하나가 주옥같은 말로 이뤄져있는데 못 듣다니!!!!그래서 동기 동생에게 필기를 빡세게 부탁했다. 1. printf, scanfprintf : print + formatprintf("문자열 or 문자열 상수", [가변인수(길이, 형태가 있지 않은)]); scanf : scan + formatscanf("서식만 들어갈 수 있음", 가변인수);% : format(서식)\n, \r, \b : 확장열(excape sequence)여기서의 escape는 탈출 X, 확장 O 2. 예제#include void main() { int a; int b; int c=0,d=0,e=0; a = scanf("%d%d%d",&c,&d,&e); // s..
2015.02.16 -
4일차 예비수업 메모
1. 복습 및 알아보기사용자 정의타입. 유도타입. -C에선 구조체, 공용체, 열거체.int는 운영체제마다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변 자료형. 32비트라고 가정했을 시 4바이트 값을 가진다.운영체제가 사용해야하는 메모리 - 아카이브 영역32비트 운영체제에서 실제로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는 4기가. 2. 수업Hell World 기본 코드 설명 #include # - 전처리 : 번역에 앞서 먼저 처리해야할 것들에 대한 링크나 조건을 컴파일 전에 사전 처리(하겠다라는 의미)include 사전에 포함.pragma 명령수행지시자ifdefine 조건컴파일 - 표준헤더의 컴파일러에서 제공하는 표준 헤더. 설치된 컴파일러에서 설치된 경로를 통해 얻어옴." " - 프로젝트를 만든 폴더 내에서 가져오는 헤더. 사용자 ..
2015.02.13 -
3일차 예비수업 메모
1. 진법수를 셀 때 자리수가 올라가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셈법의 총칭.양이나 제한 조건을 포함한다. 진법으로 이루어진 수를 진수! 진수는 진법으로 만들어진 수를 의미한다. 2. 기수기호로 수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다. 3. 프로그래머의 생각다 되는 것을 찾던지 다 안되는 것을 찾던지!10 10진법 -> N진법
2015.02.13 -
2일차 예비수업 메모
1. 운영체제는 국가다.국가 - 운영체제 (대한민국은 존재하는가? 실체화되지 않았다. - 프로그래머의 대답!)토지 - 메모리 주소 - 번지(토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평수 - 할당량사람 - 값 이사 갈 때? 번지는 그대로 사람만 이동한다. 메모리 공간은 선형구조, 순차구조로 되어있다.(Linear)메모리는 운영체제로부터 빌려 쓴다는 개념으로 알기! 2. int a의 정의운영체제로부터 메모리 공간 어딘가에 정수형 int 4바이트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고그 주소 위에 a라는 방을 만들고 그 방에는 쓰레기 값을 가지고 있다. 닥치고 외울 것. 3. 프로그램과 프로그래머의 관계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 사람의 말을 컴퓨터의 언어로 알아듣게 만들어주는 번역가! 4. 컴파일 과정소스코드 작성(사람이..
2015.02.12 -
[지식] 1의 보수, 2의 보수. 음수계산!
1. 보수의 필요성 컴퓨터에서 음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 2. 보수? 기수 n에 대한 a의 보수란 n이 되기위해 더해야 하는 b. n = a + b가 성립한다. 기수 50에 대한 20의 보수는 30. 3. 컴퓨터에서 음수 표현 비트 반전. 여기에 1을 더한다. 예시 Byte 단위로 0000 1010를 기준을 잡아보자. (2진수로 10) MAX byte를 넘어가는 수 or 0을 기수로 1 0000 0000라고 했을 때 0000 1010의 보수는 1 0000 0000 - 0000 1010 이다. 계산해보면 1111 0101이 되는데 이것이 비트 반전과 동일하다. 이것을 컴퓨터 공학에서 1의 보수라 표현한다. 여기에 1을 더하면 1111 0110이 된다. 이것을 컴퓨터 공학에서 "0000 1010에 대한 2의..
201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