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99)
-
바인딩 조사
1. 바인딩이란?이름에 속성을 연관시키는 과정. 2. 바인딩 시간바인딩이 일어나는 시점을 말한다. 이름에 속성이 연결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3. 바인딩 시간 분류- 언어 정의 시간 : 프로그래밍 언어를 정의할 때 이루어지는 바인딩.C언어의 int타입이 정수 값을 가진다는 의미를 바인딩. '+' 기호에 던셈 연산자라는 의미를 바인딩. - 언어 구현 시간 : 언어에 대한 번역기를 구현할 때 이루어지는 바인딩.C언어의 int 타입에 가능한 값의 범위를 바인딩. - 번역 시간 :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이루어지는 바인딩.int a; // 지역변수 int 속성을 a에 바인딩. - 링크 시간 : 프로그램을 라이브러리와 링크할 때 이루어지는 바인딩.라이브러리 부프로그램 호출에 부프로그램 코드를 바인딩. - 적재 ..
2015.03.13 -
국기3기 정규수업 11일차 메모
진철이 16장 함수고급 ppt 지적사항 - std vs cd 정확한 차이점을 조금 풀어서 써주기 - C++ 에서 주로 쓰는 inline, 맴버변수 초기화 - C에서 되는 예제 제시하고 차이점 분석 추가 내 생각) std, cd 주로 사용하는 언어, 두 개 속도 차이? 문제풀이 반복문, 성적표 기억부류 INT 운영체제의 호환을 위해 windows에서 사용한다. 지역변수 - 선언된 이후부터 활용이 가능하다. 생성주기 : 이름이 똑같은 변수는 지역주의로! 먼저 실행. 해당지역에서만 참조 가능하다. 지역이 파괴도면 함께 파괴된다. 전역변수 - 전 지역에서 참조 가능하다. 생성주기 : 프로그램 시작할 때 생성해서 프로그램이 끝날 때 파고된다. 정적변수 - 선언된 지역에서만 접근가능하다. 생성주기 : 전역변수와 소..
2015.03.12 -
국기3기 정규수업 9&10일차 메모
9일차전체 토론1장 ~ 10장까지 전체 정리 10일차 포인터 int* a; 주소의 저장이 주 목적. 운영체제로부터 메모리공간 어딘가에 타입에 상관없이 4바이트의 메모리공간을 할당받고 그 주소위에는 a라는 방을 만들고 그 방안에는 쓰레기 주소값이 들어있다.(32비트운영체제) 운영체제에서 처리하기 좋아하는 단위가 1워드. 한 번에 프로세서가 램에 올리는게 1워드. int *a = 0; // 0x00000000은 운영체제가 쓰지 않는 주소. Null Pointer - 아무것도 가리키지 않는 주소. 널 포인터와 주소만 저장할 수 있다. 주소와 0! 모든 포인터는 초기화 시 Null로 초기화! 내부적으로 얼마씩 연산해야하는지 알아하기 때문이다. -----------------휴식-------------------..
2015.03.11 -
수도코드, 순서도, 마인드맵 조사
1. 수도코드수도코드(슈도코드, pseudocode)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내어 알고리즘을 써놓은 코드를 말한다.의사(疑似)코드는 흉내만 내는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코드처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으며,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알고리즘의 모델을 대략적으로 모델링하는 데에 쓰인다. 의사코드는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문법을 따를 필요가 없다.보통 사용자가 많은 C, 리습, 포트란 등의 문법을 본딴 모양이 많다.엄밀한 묘사가 불필요한 부분에는 자연어가 자유롭게 쓰이기도 한다. 컴퓨터 과학의 전공 서적에서는 다양한 언어 구사자들이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특히 의사코드를 많이 사용하여 설명한다. 수도코드 예시포트란 ..
2015.03.11 -
문자열 함수 구현해보기
최대한 _s를 기준으로 구현해본다. 1. 문자열 길이함수strlen 원형/입출력 구현123456size_t myStrlen( const char *str){ const char* tail = str; while (*tail != '\0') { tail++; } return (size_t)(tail - str);} Colored by Color Scriptercs 문자열 길이를 리턴하는 함수이다.간단하게 포인터가 NULL까지 도달할때까지 뛰고 포인터 연산을 리턴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다. strnlen_s 원형/입출력 구현123456789101112size_t myStrnlen_s(const char *str, size_t numberOfElements ){ int i = 0; const char* tai..
2015.03.10 -
책읽기004) 햄릿 - end
역시 정말 좋은 작품이다. 읽을수록 빠져들어 너무 몰두하다보니내려야할 지하철역을 지날뻔 했다.여러번 다시 보고싶은 작품이다. 햄릿과 왕의 대화 중 기억에 남는 것이.햄릿이 오필리아의 아버지인 폴로니어스를 죽이고 시체를 숨긴 후의 장면이다.왕이 햄릿에게 시체가 어딨냐고 묻는 장면. 햄릿 식사중입니다. 왕식사중이라니? 어디서? 햄릿먹고 있는 게 아니라 먹히고 있는 중입니다.구더기들이 회합을 열어 그를 먹어치우고 있죠.구더기란 먹는 일에는 제왕이거든요.인간은 자신이 살찌기 위해 동물을 살찌우고,자신을 살찌운 후에는 구더기에게 먹히죠.구더기에게는 살찐 왕이나 여윈 거지나같은 식탁에 오른 두 가지 요리일 뿐이구요.이게 끝입니다. 왕아아. 저런! 햄릿왕을 뜯어 먹은 구더기로 물고기를 낚아서그 구더기를 먹은 물고리를..
2015.03.10